티스토리 뷰
반응형
임파선 부었을때 증상이 어떤것이 있는지, 왜 그런 증상이 나타나는지, 어떻게 해야 임파선 부은것이 나아지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임파선
임파선이란 림프절과 같은 말입니다. 림프절은 세균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신체를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임파선은 전신에 분포해 있지만 특히 겨드랑이, 사타구니, 목구멍 등의 신체부위에 많이 모여있습니다.
몸에 세균이 침입하면 림프절은 면역반응으로 림프구를 모아 증식해서 세균을 없애주는 역할을 합니다.
임파선 부었을때 증상
임파선염이라고 부르며, 보통 임파선 부었을때 라고 하면 우리는 목 쪽에 작게 튀어나오는 혹을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임파선은 몸 전체에 있기때문에 목 주위뿐 아니라, 쇄골, 겨드랑이, 사타구니, 무릎 뒷면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부위들을 손으로 만졌을 때 작은 혹, 멍울 같은것이 느껴지게 됩니다.
감염증에 의해 임파선이 부었을때는 눌렀을 경우 아픈경우가 많습니다. 피부에 발적이 동반될수도 있습니다.
임파선 부었을때 원인
림프절이 외부 균과 싸우기 위해 붓기도 하지만, 병이 임파선을 타고 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임파선 붓는 증상이 우리몸의 면역반응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면 특별한 조치가 필요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병이 임파선을 통해 퍼지고 있는 상황이라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임파선염은 구강을 비롯한 상부호흡기계의 감영증에 의해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같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우리나라에서는 결핵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많으며, 혈액암이나 임파종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병원을 가서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하셔야합니다.
임파선 부었을때 해결책
임파선이 갑자기 붓고 만졌을때 통증이 있다면 염증성 병변일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촉감이 돌처럼 단단하면 전이성 암의 위험이 있을 수 있고, 단단하지 않다면 염증성 병변이라고 하네요.
임파선의 크기가 1cm 이상이고 1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병원에가서 바로 진료를 받아보세요.
상부호흡기계의 감염증으로 인한 임파선염이라면 저절로 치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충분한 휴식과 영양섭취, 수분섭취를 잘 해주세요.
면역력 증강효과와 살균효과가 있는 마늘,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을 주는 버섯을 섭취하면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생활리듬은 당연히 몸을 도와주겠지요? 음주, 흡연, 스트레스를 피하고 건강 회복에 신경을 써주시면 빠른 회복이 가능합니다.
임파선 부었을때 혼자서도 위에 말씀드린대로 혼자서 체크해볼 수 있지만 병원에가서 진단을 받아보는것이 안전합니다. 의심스럽다면 병원에 가셔서 진단을 받아보세요. 지금까지 임파선 부었을때 증상과 원인, 해결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구인구직
- 요금
- 지하철 분실물센터
- 문화누리카드
- 한글
- 공항버스
- 전화번호
- 부작용
- 감스트 해설
- 노선
- 연봉계산기
- 감스트 라디오스타
- 배그
- 차단
- 삭제
- 복용법
- 효능
- 고객센터
- 취업정보
- 페이스북
- 임산부
- 감스트
- 설정
- 영업시간
- 가격
- 주의사항
- 교차로
- 시간표
- 아이폰
- 유튜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